AI Repository/기초 강화학습 16

[강화학습] Policy Gradient Method

우리가 기존에 알고있던 DQN은 Q 함수를 하나의 신경망으로 근사하는 "정책 외 알고리즘"이다.즉, DQN은 행동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 보상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알고리즘이다.QN이 예측한 Q value들은 특정 정책에 따라 다음 동작을 선택하는데 쓰인다.동작을 선택하는 정책은 다양한데, 현재 우리는 입실론-그리디 정책 정도만 학습했다.그 외에도 Q value들에 소프트맥스 층을 적용해서 하나의 동작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가능하다. 그런데 신경망과 정책을 따로 두고 동작을 선택하는 대신, 신경망이 직접 동작을 선택하도록 훈련하면 어떨까?이 경우 신경망은 정책 함수(policy function)의 역할을 한다.이런 신경망을 정책 신경망, 줄여서 정책망(policy network)이라고 부른다..

[강화학습] Target Network를 이용한 안정성 개선

지금까지 우리는 Gridworld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심층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훈련하는 데 성공했다.하지만 두 모드의 경우 가능한 4x4 게임판 구성이 아주 많지는 않으므로, 그냥 가능한 모든 게임판 구성을 암기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게임을 이기려면 알고리즘은 게임 플레이 방법을 실제로 배워야 한다.그러나 앞에서 본 잡음이 많은 손실 그래프가 말해 주듯이, 현재 우리의 심층 강화학습 모형은 Gridworld의 무작위 모드를 그리 잘 학습하지 못한다. 그럼 가치 갱신량들을 좀 더 고르게 만드는 또다른 기법을 살펴보자.학습 불안정성DQN 논문에서 딥마인드 팀은 개별 동작마다 QN의 매개변수들을 갱신하다보면 학습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을 지적했다.Girdworld 게임처럼 보상이 희소한 환경, 즉 게임..

[강화학습] Experience Replay, ER - Catastrophic Forgetting의 해소

본 내용은 심층강화학습 인 액션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심층 강화학습 인 액션 - 예스24프로젝트로 배우는 심층 강화학습의 이론과 실제!이 책 『심층 강화학습 인 액션』은 환경이 제공하는 직접적인 피드백에 기반해서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을 개선해 나가는 에이전트의 구현 방www.yes24.com 우리는 이전 글에서 Gridworld를 학습시켰고, 무사히 학습에 성공한?것을 알 수 있었다.하지만 이것은 게임의 '정적' 모드, 즉 가장 쉬운 버전이었다.mode='random'으로 다시 실험해보면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온다.실망스럽지만 흥미로운 결과이다.이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단순히 정적 모드에서의 움직임을 암기했다고 보는게 정확한 수준으로 그대로 움직인다. 학습 또한 'random' 모드로 수행..

[강화학습] DQN

본 내용은 심층강화학습 인 액션 도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심층 강화학습 인 액션 - 예스24프로젝트로 배우는 심층 강화학습의 이론과 실제!이 책 『심층 강화학습 인 액션』은 환경이 제공하는 직접적인 피드백에 기반해서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을 개선해 나가는 에이전트의 구현 방www.yes24.com 과거에도 Q함수를 신경망으로 표현하려던 시도는 있었지만,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어 해결하지 못했다.신경망 학습 연산의 비용이 감당 불가능했다.catastrophic forgetting 문제가 있었다. - ER(Experience Replay)신경망 자체의 편향을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 Target Network시대가 변화하며 GPU의 병렬 연산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고,구글 딥마인드에서 2013년에..

[강화학습] 강화학습에 신경망 더하기

본 글은 강화학습과 신경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벨만 방정식, Q-Learning, 퍼셉트론, FNN, CNN, RNN, etc.)이 있다고 가정하고 작성되었습니다.또한, 본 글은 DQN/정책 정사법과 관련된 내용을을 다루지는 않으니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신경망을 위한 전처리신경망에서 '범주형 데이터'를 다룰 때에는 원-핫 벡터로 변화나는 것이 일반적이다.범주형 데이터: 범주로 묶을 수 있는 것. 혈액형이나 옷 사이즈 등원-핫 벡터: 한 개의 원소만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벡터예를 들자면, 혈액형 A/B/AB/O 를 각각 (1,0,0,0)/(0,1,0,0)/(0,0,1,0)/(0,0,0,1)로 치환하는 것이다.그럼 아래와 같은 문제는 어떻게 원-핫 벡터로 바꿀 수 있을까?3x4 크기의 셀을 각각 범주..

[강화학습] 에이전트 구현 방법 - 분포 모델과 샘플 모델

에이전트 구현 방법에는 크게 '분포 모델'과 '샘플 모델'이 있다.분포 모델분포 모델은 확률 분포를 명시적으로 유지하는 모델이다.그래서 '무작위로 행동하는 에이전트'를 분포 모델로 구현한다면, 다음처럼 구현할 수 있다.이와 같이 각 상태에서의 행동 확률 분포를 self.pi 변수에 유지한다.그리고 실제 행동을 할 때는 이 확률 분포를 토대로 샘플링한다. 이것이 에이전트를 분포 모델로 구현하는 방법이며, 이처럼 확률 분포를 명시적으로 유지한다는 점이 분포 모델의 특징이다.샘플 모델샘플 모델은 '샘플링이 가능하다' 라는 조건만 충족하면 되는 모델이다.확률 분포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포 모델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확률 분포 없이 단순히 네 가지 행동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도록 구현했다. 이건..

[강화학습] 시간차 학습(TD), SARSA, Q-Learning

시작하기 전에, 간단하게 강화학습에서의 몬테 카를로와 DP의 특징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다.DP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점화식을 통한 증분 계산을 활용한다.장점따라서 에피소드 진행 중 평가와 개선을 번갈아가며 최적 정책을 얻을 수 있다.이 과정에서 반복되는 계산을 하나로 합쳐 진행하는 최적화(가치 반복법) 또한 가능하다.단점환경 모델(상태 전이 확률과 보상 함수)이 확실하게 알려져 있어야 계산이 가능하다.계산량에 대한 부하가 심하다.몬테 카를로실제 시나리오를 돌려보면서 환경을 추론한다. (비정상 Multi-Armed Bandit 문제)장점환경 모델이 확실하지 않더라도 평가/개선이 가능하다.단점몬테 카를로의 특성 상, 하나의 에피소드가 끝나야 평가 후 개선이 가능하다.일회성 과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지속적 ..

[강화학습] 강화학습에서 최적 정책을 찾는 방법

최적 정책은 '평가'와 '개선'을 번갈아 반복하여 얻는다.'평가' 단계에서는 정책을 평가하여 가치 함수를 얻는다.그리고 '개선' 단계에서는 가치 함수를 탐욕화하여 정책을 개선한다.이 두 과정을 번갈아 반복함으로써 최적 정책(과 최적 가치 함수)에 점점 다가갈 수 있다. 신경망에 비유하자면, 강화학습의 '평가'는 손실 함수 역할이고, 강화학습의 '개선'은 경사 하강법이 수행하는 역할이다. 예를 들어 몬테 카를로 방법으로 강화학습을 수행한다고 해보자.pi라는 정책이 있다면, 몬테 카를로 법을 이용해 V_pi를 얻을 수 있다.그다음은 개선 단계이다. 개선 단계에서는 탐욕화를 수행하며, 다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계산 단계에서는 가치 함수의 값을 최대로 만드는 행동을 선택한다.이를 탐욕화라고 한다. Q 함..

[강화학습] Off-Policy, On-Policy, 중요도 샘플링

입실론-그리디 정책은 탐색과 활용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기법이다. 하지만 그 결과는 '완벽한 최적 정책'이 아니다.왜냐하면 '탐색'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그 과정이 비효율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활용'만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길 수 있다.몬테 카를로 법을 이용해, 완벽한 최적 정책을 학습하는 방법을 알아보자.On-Policy스스로 쌓은 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정책을 개선하는 방식이다.밴디트 문제에서 구현한 입실론 그리디 정책에선 '탐색' 과정이 필수로 들어가왔다.Off-Policy자신과 다른 환경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정책을 개선하는 방식이다.만약, 평가와 개선의 대상인 정책과, 실제 행동을 선택하는 행동 정책을 구분하면 어떻게 될까?이렇게 하면, 실제 행동을 선택하는 'Target pol..

[강화학습] 벨만 방정식

이번 내용은 지난 장에서 다루지 못했던 "확률적 MDP"의 수식 전개이다.벨만-포드 알고리즘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만든 수학자 벨만의 또다른 업적, 벨만 방정식에 대해 알아보자.벨만 방정식은 MDP에서 성립하는 가장 중요한 방정식이며, 많은 강화 학습 알고리즘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사실 순수한 벨만 방정식의 경우, 실용적인 문제에서는 계산량이 너무 많아져서 적용하기 쉽지 않다.하지만 선형 회귀/로지스틱 회귀에서 딥러닝이 발전했듯이,벨만 방정식의 도출 과정이 강화학습의 기초(즉, 새로운 기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정확히 인지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참고로, 좀 어렵다...기호가 이것저것 많이 등장해서 읽는데 시간이 좀 걸릴 것이다.익숙해지는 수밖에 없으니, 반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