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 깊게 탐구하기 36

메모리 압축(Memory Compaction), 그리고 Garbage Collector

우리는 단편화 문제에서 메모리 압축이 필요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지금부터 메모리 압축에 대해서 알아보자.메모리 압축 방식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메모리 압축은 두가지 방식으로 나뉘어진다.Sliding살아있는 객체들을 전부 한쪽 끝으로 몰아넣는다.장점추가 메모리의 요구가 없다.단점전체 메모리가 크게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stop-the-world 시간이 길어진다.Copying Compaction동작 방식공간을 절반으로 나눈다.1회 압축시마다, 데이터를 반대쪽으로 이동시킨다.이를 압축마다 반복한다.장점구현이 단순하다.Bump Allocator 연산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Stop-the-world 시간이 빠르다.sizeof(object) 연산을 이용해 다음 빈 포인터를 O(1)만에 찾는다.메모리의 이..

메모리 단편화와 페이징

메모리 단편화를 해결하는 방법, 페이징에 대해 알아보자.페이징페이징이란, 가상 메모리 공간의 메모리 관리 기법을 의미한다.페이징의 설계 방식메모리를 페이지 단위로 잘라서 사용한다.물리 메모리의 크기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할 때, 가상 메모리를 위한 "페이지"라는 단위를 만들어하나의 페이지를 하나의 프레임과 1:1 크기로 매핑하는 것을 의미한다.프로세스는 자신이 할당받은 가상 주소 공간 내에서, 가상 메모리를 페이지 단위로 사용하게 된다.가상 주소 공간 관리 기법이다.페이징 자체에 가상 주소 공간 개념이 포함된다. 고정된 메모리 풀 할당 방식과 혼동하지 말자.페이징의 효과물리 메모리의 외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한다.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계층과 할당되는 물리 메모리 계층을 분리한다.페이지의 크기가 줄어들수..

메모리 할당 문제, 그리고 메모리 단편화

메모리 할당 전략현재 다음과 같이 메모리가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만약 여기서, 어떤 프로세스가 세 칸의 메모리에 대한 할당을 요청했을 때, OS는 해당 메모리를 위한 빈 공간을 어떻게 지정할 수 있을까?우리는 이 상황에서 3가지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지금부터 각각 어떠한 전략인지를 알아보자.First-fitBest-fitWorst-fitFirst-fit순서대로 순회하다가, 가장 먼저 만나는 할당가능한 빈 공간을 지정한다.운이 없으면, 전체 메모리를 전부 순회해야 한다.여기서는 가장 먼저 만나는 빈 공간인 4칸을 선택한다.Best-fit모든 메모리 블록 중에서, 요청된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블록 중 가장 작은 블록을 선택한다.항상 전체 메모리를 전부 순회해야 한다.여기서는 필요한 크기와 정..

Java I/O vs Java NIO - 왜 NIO는 단일 버퍼 모델을 채택했을까?

글의 목적JAVA I/O 와 Java NIO는 목적 자체가 다르고, 상황에 맞게 써야 한다는데, “그럼 대체 뭐가 달라서, 어떤 기준으로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탐구를 수행한 과정을 기록한다.Java NIO 버퍼 입출력 메소드 - flip, clear, compact기본 개념 - ByteBuffer 동작 방식쓰기 모드 (Writing mode)데이터를 버퍼에 쓸 때 사용한다.position: 현재 쓸 위치limit: 쓰기 가능한 최대 범위(일반적으로 버퍼의 capacity)로 설정된다.읽기 모드 (Reading mode)버퍼에 쓰여진 데이터를 읽어올 때 사용한다.position: 현재 읽을 위치limit: 읽기 가능한 최대 범위(일반적으로 write 모드때의 마지막 position)로 설정된다.쓰기→..

도메인 이벤트와 State Machine 시스템 설계 - 강아지 키우기

의인화(Anthropomorphism)란?소프트웨어 객체를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설계하는 원칙.객체를 마치 사람처럼 직접 행동하는 “자아를 가진 존재”로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Rebecca Wirfs-Brock - 도메인 이벤트, 상태 머신, 이벤트 소싱, CQRS, 그리고 DDD(도메인 주도 설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응집도 높은 설계를 만든다. 본 글에서는 강아지 키우기 예제를 통해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해보고, 실제 구현 시 고려해야 할 디테일과 도전 과제들을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먼저 해당 링크를 통해, 도메인 이벤트의 정의에 대해 이해하길 바란다.예제 - 강아지 키우기우리가 설계해야 할 소프트웨어 모델은, 단순 CRUD 를 넘어 좀 더 능동적으로 스스로 행동하는 객체를 만들어야 할..

도메인 서비스 - DDD의 적용, JPA 엔티티와의 비교

도메인 서비스란?서로 다른 애그리거트간, 협력을 중재하는 객체이다.보통 싱글톤으로, Pure Fabrication 형태를 띄며 정의된다.도메인 서비스의 개념 자체는 매우 단순하다.우리가 쉽게 만들어 쓰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도메인 서비스, 그럼 스프링 빈으로 사용해도 되나?가능하다.스프링의 빈(Bean) 관리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싱글톤 객체로 등록해두면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다만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서비스 레이어)와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단순히 스프링 빈으로 등록했다고 해서 인프라 계층 로직을 무조건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그럼 도메인 서비스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되는데, 인프라 로직에 종속된거 아닌가?실제 인프라 로직은, 선언한 빈을 통해 바이트 코드로 구..

DDD 트릴레마 - 도메인 모델 완전성 vs 도메인 모델 순수성

다음 글은 블라디미르 코리코프의 DDD 트릴레마를 번역하고,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이전에 보면 좋은 글: 도메인 주도 설계 도메인 주도 설계(DDD)사전 지식 - GRASP 패턴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 란?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는 소프트웨어의 핵심 비즈니스 도메인에 집중하여 복잡한 도메인 지식을 코드의 도메인 모델로 표dev.go-gradually.me 기초 지식 - 기능 요구사항 vs 비기능 요구사항기능 요구사항비즈니스 로직비기능 요구사항인프라 특성인프라 수준의 구현으로 해결해야 하는 요구사항성능, 품질, etc.DDD를 왜 쓰는가? → 소프트웨어 핵심에서 복잡성을 해결하는 것 DDD에는 흥미로운 트릴레마가 하나 존재..

개인 프로젝트로 학습하는 방법

도메인 지식 학습과, 기술 학습을 동시에 하지 마라.학습은 항상 최소 단위로욕심부리면, 흐지부지된다.명확한 목표 설정의 난이도가 매우 올라간다.진도를 잡기 어려워진다.도메인 학습도메인 학습이란?쇼핑몰 도메인을 배워볼까?결제 도메인을 배워볼까?지도 도메인을 배워볼까?무조건 익숙한 기술로런칭하고 보강하고 조금씩 진화시키기무조건 인프라까지 배포하기인스턴스 2대 이상으로소프트웨어 설계정도는 해도 됨모듈링멀티모듈싱글모듈소프트웨어 아키텍처헥사고날클린레이어드코드 작성 규칙JPA 엔티티 도메인으로 사용JPA 엔티티 숨기기무조건 익숙한 기술로 시작하기.차근차근 리팩토링하는 형태로 학습기술 학습하나의 싱글 모듈 안에 다 때려박기웹플럭스카프카레디스NoSQL웹소켓배포는 굳이? git repo에 올려두는 정도만여담굳이 단위테스..

기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

기본적인 문제 해결 접근 방법넘버링 되어있지만, 순서는 없다.순서대로 접근하진 않아도 되지만, 위에서 아래로 접근하는 것이 좋긴 하다.상위 단계가 충분히 되어있지 않다면, 언제든 다시 위로 올라가는 것이 좋다.하지만, 이 다섯가지가 정교하게 되어있어야, 흔들림 없고 견고한 결과물이 완성된다.그렇다고 하더라도, 외부 요구사항이 “견고한 결과물” 보다, “돌아가는 결과물”을 원한다면, 이에 맞출 수 있는 것도 능력이다.모든 것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있다. 현재 상황에 알아서 잘 판단하자.접근 방법문제 정의문제 분석도구 선택구현평가지금부터,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다.문제 정의현재 주어진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문제에 맞는 종속변수 y, 상수 c, 독립변수 x를 명확히 정의하라!다음과 같은..

책 읽는 방법

오랜만에 독서를 통해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려고 하니, 어떻게 접근하고 학습하였는지 기억도 잘 안나고, 체계가 잡혀있지 않은 상태로 읽게되는 것 같다.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가볍게 "책 읽는 방법" 이라는 주제로 생각을 정리한 글을 게시한다.1. 목차 읽기알려주는 내용 파악: 목차를 먼저 읽어 책이 전달하려는 핵심 메시지와 다루는 주제를 명확히 한다.주제 분석: 각 목차 항목을 통해 책의 전반적인 내용과 범위를 이해한다.예상 결과 도출: 목차를 기반으로 책을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나 배움의 방향을 미리 예측한다.2. 한 챕터 읽어보기해당 책의 글의 구조를 파악한다.해당 책/글의 구조에 어울리는 학습 전략을 수립한다. 3. 용어 추출핵심 단어 강조: 책을 처음 읽을 때 주요 개념이나 용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