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공간/방광암 치료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의 CIS 방광암 치료 사용

조금씩 차근차근 2025. 9. 4. 22:21

용어에 대한 설명은 해당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방광암과 CIS, 그리고 그 치료

꾸준히 갱신될 예정입니다.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바로잡아주시길 바랍니다.방광의 구조점막층 (urothelium, 상피층)소변과 직접 맞닿아 있는 표피(상피). 여기서 암이 가장 먼저 발생한다.점막하층

dev.go-gradually.me

 

 

소개

2020년 1월 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두종 유무와 관계없이 상피내암(CIS)을 동반한, BCG에 반응하지 않는 고위험 비근육 침습성 방광암(NMIBC)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을 승인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도 2024년 7월 25일에 키트루다를 전이성 방광암과 CIS의 치료제로 사용하는걸 허가했으며, 이는 30년만에 등장한 새로운 CIS의 항암 요법이다.

요로 CIS는 요로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요로상피세포에서 기원하며, 대부분의 방광암, 신장암, 요관암의 원인이 된다. 
환자의 약 10~15%는 원격 전이로 수술이 불가능한 단계에서 진단되며, 5년 상대 생존율은 11.7%에 불과했다. 지난 30년 동안 항암 화학요법만이 유일한 1차 표준 치료법이었다.   

효과

효능은 다기관, 단일군 시험인 임상 시험 번호 KEYNOTE-057(NCT)에서 조사되었는데, 이 시험에는 고위험 NMIBC 환자 148명이 등록되었으며, 이 중 96명은 유두종양이 있거나 없는 BCG에 반응하지 않는 CIS를 앓고 있었다. 
환자들은 용납할 수 없는 독성, 지속적이거나 재발하는 고위험 NMIBC 또는 진행성 질환이 나타날 때까지 또는 질환이 진행되지 않고 최대 24개월 동안 치료를 받을 때까지 3주마다 펨브롤리주맙 200mg을 투여받았다.

주요 효능 결과 지표는 완전 반응(방광경 검사[해당되는 경우 TURBT/생검 포함], 소변 세포진단, 그리고 컴퓨터 단층촬영(CTU) 영상에서 음성으로 정의)과 반응 지속 기간이었다. 
CIS를 동반한 고위험 BCG 비반응성 비근침윤성 방광암(NMIBC) 환자 96명의 완전 반응률은 41%(95% CI: 31, 51)였으며, 반응 기간 중앙값은 16.2개월(0.0+, 30.4+)이었다. 
이는 95%의 확률로 완전 반응(암의 제거or억제)한 환자가 31%~51%라는 의미이며, 가장 의미있는 추정치는 41%라는 뜻이다.
또한 반응 환자의 46%는 최소 12개월 이상 지속되는 완전 반응을 경험했다.

 

Seagen 및 Astellas와 협력하여 진행된 글로벌, 공개, 무작위 배정, 3상 연구인 KEYNOTE-A39/EV-302 연구는 이전에 치료받지 않은 요로 상피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키트루다-파드세브 병용 요법의 효능을 평가했다. 
17.2개월의 중앙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병용 요법은 무진행 생존기간(PFS)이 12.5개월(95% CI, 10.4-16.6)인 반면, 위약군은 6.3개월(95% CI, 6.2-6.5)이었다. 
이는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이 55% 감소했음을 의미한다(HR=0.45; 95% CI, 0.38-0.54; P<0.001). 
  
또한, 전체 생존기간(OS) 평가 결과 키트루다 그룹에서는 중앙 OS가 31.5개월(95% CI, 25.4-NE), 위약 그룹에서는 16.1개월(95% CI, 13.9-18.3)로 나타났으며, 이는 키트루다 그룹에서 위약 그룹보다 사망 위험이 53%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HR=0.47; 95% CI, 0.38-0.58; P<0.001).  

투여 방식

일반적으로 키트루다는 면역항암제류로,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지만, 방광암 상피내암 치료에 있어서는 예외적으로 유전자 검사 없이 투약을 허가한다.
이는 키투르다의 투약 조건이었던 PD-1 발현과도 무관함을 밝혀냈기 때문에 허가된 사항이다.
그래도 다른 항암제(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와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투약 전 해당 검체(암 조직)에 대한 조직검사를 수행한다.

권장되는 펨브롤리주맙 복용량은 3주마다 200mg이다.

 

부작용

KEYNOTE-057에서 pembrolizumab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가장 흔한 이상반응(발병률 ≥10%) 은 피로, 설사, 발진, 가려움증, 근골격계 통증, 혈뇨, 기침, 관절통, 메스꺼움, 변비, 요로 감염, 말초 부종,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및 비인두염이었다.  




참고 자료

https://www.fda.gov/drugs/resources-information-approved-drugs/fda-approves-pembrolizumab-bcg-unresponsive-high-risk-non-muscle-invasive-bladder-cancer
https://www.koreabio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65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604

'개인적 공간 > 방광암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암과 CIS, 그리고 그 치료  (0) 2025.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