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구사항 & UX 리서치
- 서비스 목표·주요 유저 시나리오 정의
- 어떤 기능/화면이 필요한지 플로우 정리 (로그인, 대시보드, 설정 등)
- 경쟁 서비스 벤치마킹 (UX 패턴 참고 → MUI 컴포넌트 맵핑 가능)
2. 정보 구조 & 와이어프레임
- 페이지 플로우 / IA: 어떤 페이지들이 있고,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 결정
- 와이어프레임: 흑백 박스 수준에서 구조만 정의
- 예: 상단바(Header), 좌측 네비게이션, 메인 콘텐츠, 버튼 위치
- 이때부터 MUI 기본 컴포넌트(Button, AppBar, Grid 등)로 대응할 수 있음
3. 디자인 토큰 확정 (MUI Theme Mapping)
- 브랜드 컬러 →
theme.palette.primary / secondary
- 폰트/글자 크기 →
theme.typography
- 간격/라운드 값 →
theme.spacing
,theme.shape.borderRadius
- 브레이크포인트 →
theme.breakpoints
- 여기서 팀 공통 디자인 규칙(Design Tokens)을 코드로 연결할 수 있음
4. UI 디자인 (High-Fidelity Mockup)
- Figma 등에서 실제 색상, 폰트, 아이콘, MUI 컴포넌트 스타일링 반영
- MUI의 컴포넌트 카탈로그를 기준으로 화면 설계
- 버튼 →
Button
- 폼 →
TextField
,Select
,Checkbox
- 데이터 표시 →
Card
,Table
,Chip
- 버튼 →
- 필요 시 컴포넌트 변형(Variants) 정의
5. 프로토타이핑
- Figma에서 실제 MUI 컴포넌트에 가까운 프로토타입 제작
- 사용자 테스트 → 피드백 반영
6. 검증 & 개발 핸드오프
- 최종 디자인 시안 + 토큰 정의를 개발자에게 전달
- Figma Inspect 또는 Storybook 기반 문서로 컴포넌트-디자인 매핑 공유
- 개발자는
ThemeProvider
와sx
/styled
를 이용해 빠르게 코드화
'WEB FE Reposi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 작업 순서 (Material UI + 일반 Webapp 기준) (0) | 2025.10.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