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센서 데이터 수집, IoT, 무선 인터넷 연결 등을 담당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Wi-Fi
- 링크 참조
블루투스
- 저전력형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
장점
- 소비 전력이 적고, 다양한 장치를 페어링해서 간단히 연결이 가능하다.
단점
- 전송 속도나 통신 거리면에서 극히 부족하다.
동작 방식
- 2.4GHz 대역을 79개 채널로 나눠 사용한다.
- 주요 키워드
- FHSS
- AFH
사용처
- 블루투스 기기
지그비
- 초저전력형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
- "지그재그"로 날아다니는 "벌"(bee) 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장점
- 슬립 시 대기전력이 블루투스보다도 작다.
단점
- 전송 속도나 전송 거리가 압도적으로 열악하다.
동작 방식
- 2.4GHz 대역을 16개 채널로 바꾸어 사용한다.
- 주요 키워드
- QPSK
- DSSS
- 최대 250kbps 의 전송속도를 낸다.
사용처
- 스마트홈 가전
- 제조 공장의 센서
- IoT
'CS Repo > 네트워크 - Top-down Approach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선 LAN(IEEE802.3) 이더넷 - 데이터링크 계층 관점 (0) | 2025.04.15 |
---|---|
네트워크 전송 방식의 종류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0) | 2025.04.15 |
무선 LAN(IEEE802.11) Wi-Fi - 물리 계층 (0) | 2025.04.13 |
유선 LAN(IEEE802.3) 이더넷 - 물리 계층 관점 (0) | 2025.04.12 |
네트워크의 형태 - LAN, WAN, DMZ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