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Repo/네트워크 - Top-down Approach + @ 26

IPv4 패킷의 구조

버전IP의 버전을 나타내는 4비트 필드이다.IPv4에서는 "0x4" 가 들어간다.헤더 길이(Internet Header Length, IHL)IPv4의 헤더 길이를 나타내는 4비트 필드이다.헤더의 길이를 4바이트 단위로 환산한 값이 들어간다.1바이트, 1비트 단위가 아님에 유의하자.IPv4 헤더의 길이는 20바이트 이므로 "0x5"가 들어간다.ToS(Type of Service)정의IPv4 패킷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1바이트(8비트) 필드이다.우선 제어, 대역 제어, 혼잡 제어 등 QoS(Quality of Service)에서 사용한다.미리 네트워크 기기에서 '이 값이면 최우선으로 전송한다.', '이 값이면 이것만은 보증한다' 등 정책을 설정해 두고송신자가 적절한 헤더를 선택함으로써 QoS를 지원할 수 있..

ARP - 주소 결정 프로토콜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IP주소는 OS상에서 설정한 논리적인 주소인데, MAC는 NIC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물리적인 주소이다.IP 주소는 DNS, 다른 전달 방식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데,NIC에는 MAC 주소를 직접 요청할 기능같은게 없다.MAC 주소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 ARP에 대해 알아보자.ARP란?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 결정 프로토콜수신지 IPv4주소로부터, 수신지 MAC주소를 구하는 방법이다.참고) IPv6의 MAC 주소 결정은 ICMPv6에서 수행한다.2.5계층 느낌으로, 네트워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라우터가 MAC 주소 요청을 받으면,ARP를 이용해 로컬 이더..

유선 LAN(IEEE802.3) 이더넷 - 데이터링크 계층 관점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같이보기: 이더넷 - 물리 계층 관점 지금부터 이더넷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다.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이더넷 프레임MAC 주소이더넷을 위한 장비, L2 스위치가 제공하는 기능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물리 계층과 비교하면물리 계층은 디지털 데이터를 전파 신호로 변환하고,데이터링크 계층은 디지털 데이터 전체의 정합성 체크를 수행한다.물리계층과 연계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물리 계층과 함께 프로토콜로 정의되어 있다.이더넷 프레임정의이더넷 프로토콜에 의해 캡슐화된 패킷을 의미한다.이더넷 프레임 포맷의 종류이더넷 II 규약사실상 표준IEEE802.3 규약이더넷 II에 몇가지 기능을 더 추가했지만, 이미 ..

네트워크 전송 방식의 종류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주의) L3 레이어에 한정된 개념이 아니니,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하자.유니캐스트일반적인 1:1 통신을 의미한다.인터넷 통신의 대부분이 이 유니캐스트로 분류된다.브로드캐스트해당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속하는 자신 외 모두와 진행하는 1:n 통신을 의미한다.브로드캐스트 그룹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선 로컬 이더넷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계층에선 좀 더 넓은 범위가 될 수 있다.멀티캐스트특정 그룹에 속한 개체와의 1:n 통신을 의미한다.1이 자신을 의미하고,n이 특정 그룹을 의미한다.브로드캐스트보다 트래픽 효율이 높다.애니캐스트 (L3 한정)멀티캐스트 그룹에서, 가장 가까운 노드를 찾아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1km은 예시임에 유의하자.)IPv6에서 추가된, L3 레이어의 새로운 기능이다.가..

무선 프로토콜 - Wi-Fi, Bluetooth, Zigbee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센서 데이터 수집, IoT, 무선 인터넷 연결 등을 담당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Wi-Fi링크 참조블루투스저전력형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장점소비 전력이 적고, 다양한 장치를 페어링해서 간단히 연결이 가능하다.단점전송 속도나 통신 거리면에서 극히 부족하다.동작 방식2.4GHz 대역을 79개 채널로 나눠 사용한다.주요 키워드FHSSAFH사용처블루투스 기기지그비초저전력형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지그재그"로 날아다니는 "벌"(bee) 에서 유래한 이름이다.장점슬립 시 대기전력이 블루투스보다도 작다.단점전송 속도나 전송 거리가 압도적으로 열악하다.동작 방식2.4GHz 대역을 16개 채널로 바꾸어 사용한다.주요 키워드QP..

무선 LAN(IEEE802.11) Wi-Fi - 물리 계층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이번엔 무선 랜 프로토콜인, IEEE802.11에 대해 알아보자.IEEE802.11 과 Wi-Fi의 관계Wi-Fi는 이더넷처럼 하나의 프로토콜로 착각하기 쉽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둘은 서로 다르다.IEEE802.11IEEE802의 11번째 working group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무선 LAN의 표준 프로토콜 기술을 정의한다.Wi-FiWi-Fi Alliance: 무선 LAN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미국 단체해당 단체가 수행하는 상호 연결 설정을 의미한다.주파수 대역무선 랜은 크게 두가지 주파수 대역 중 하나를 사용한다.2.4GHz 대역5GHz 대역해당 대역폭을, "채널"이라는 형태로 나누어 사용한다.2.4GHz ..

유선 LAN(IEEE802.3) 이더넷 - 물리 계층 관점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같이 보기: 이더넷 - 데이터링크 계층 관점IEEE802.3이란?유선 LAN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IEEE802.3 과 이더넷의 관계하와이 대학에서 구축된 ALOHAnet으로 시작하였다.이더넷은 알로하넷을 참고해 DEC, Intel, Xerox PARC가 함께 개발한 기술로, 초기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었다.IEEE 802.3은 이더넷 기술을 보다 체계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정립된 표준이다.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IEEE 802.3 표준을 따르는 유선 연결 기술을 이더넷이라고 부른다..

네트워크의 형태 - LAN, WAN, DMZ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표준 네트워크 형태크게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구분된다.LAN에서 WAN으로 이어져, DMZ 의 공개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이다.LAN정의Local Area Network가정이나 기업 등, 한정된 범위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가정의 LAN 환경과 기업의 LAN 환경은, 규모와 설비 면에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가정의 LAN 환경스마트폰, 태블릿, TV 등등이 LAN으로 연결된다.그 다음 인터넷으로 연결된다.구조인터넷브로드밴드 라우터단말기업의 LAN 환경가정용 LAN보다 좋은 성능으로 구성된다.기업의 LAN 환경에 붙는 추가 기능Redunduncy(이중화)어딘가 하나가 고장나도, 반대쪽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L2 루프 방지프레..

네트워크 장비/기기의 종류와 역할 총정리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네트워크 구성 기기네트워크 구성 기기는 각각 자신이 속한 계층까지만 처리할 수 있다.지금부터 각 계층에 속하는 기기들을 알아보자.물리 계층역할물리적인 사양에 관하여 모두 정의되어 있는 것들을 담당한다.케이블/커넥터 형태핀 할당(핀 배열)패킷의 컨버팅광 신호(케이블)/전기 신호(LAN)으로 변환전파로 변조다루는 PDU: 비트종류NIC, 리피터, 리피터 허브, 미디어 컨버터, 액세스 포인트각각 어떠한 장치들인지 알아보자.NICNetwork Interface Card기본 기능모든 네트워크 단말(스마트폰/PC/태블릿 등)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운영체제가 처리한 패킷을 NIC를 이용해 LAN 케이블이나 전파로 보내게 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

PDU, PCI, SDU란?

통신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여러 계층으로 나뉘며, 각 계층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포장해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이때 등장하는 SDU, PCI, PDU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SDU (Service Data Unit)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 전달하는 서비스 단위를 의미한다.특징상위 계층의 사용자 데이터를 그대로 포함하며, 아직 하위 계층의 제어 정보(header, trailer 등)가 첨가되지 않은 상태이다.하위 계층에서는 이 SDU에 자신의 프로토콜 제어 정보(PCI 등)를 덧붙여 PDU를 생성한다.PCI (Protocol Control Information)각 계층의 하위 계층이 부가하는 제어 정보로, 데이터의 처리 및 전달, 오류 검출·수정, 흐름 제어, 순서 보장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