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파일 I/O, 네트워크I/O) 개념에서 비동기와 논블로킹 개념은 매우 혼동하기 쉬운 주제이다.네트워크를 정확히 모른다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격이니, 이번기회에 제대로 정리하고 넘어가보자. 전제이 방식은 모두, 이 패턴을 따를 때 적용된다.호출자가 어떤 작업을 요청하고,처리자가 그 결과를 돌려준다.코드의 흐름이 동기/비동기인것은 문제에서 제외하고, 통신 개념에서의 동기/비동기에 집중해주길 바란다.코드의 흐름이 동기/비동기인 것과, 외부 서버와의 통신이 동기/비동기인 것은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 다르다.이 과정에서, 호출자의 대응 전략에 집중해보자.참고) 좌측 코드의 흐름은, 블로킹/논블로킹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get() 시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다면 논블로킹처럼 동작할 것이고, 준비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