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독서를 통해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려고 하니, 어떻게 접근하고 학습하였는지 기억도 잘 안나고, 체계가 잡혀있지 않은 상태로 읽게되는 것 같다.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가볍게 "책 읽는 방법" 이라는 주제로 생각을 정리한 글을 게시한다.
1. 목차 읽기
- 알려주는 내용 파악: 목차를 먼저 읽어 책이 전달하려는 핵심 메시지와 다루는 주제를 명확히 한다.
- 주제 분석: 각 목차 항목을 통해 책의 전반적인 내용과 범위를 이해한다.
- 예상 결과 도출: 목차를 기반으로 책을 읽으면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나 배움의 방향을 미리 예측한다.
2. 용어 추출
- 핵심 단어 강조: 책을 처음 읽을 때 주요 개념이나 용어에 형광펜을 사용해 강조한다.
- 부제 작성하기: 각 문단별 부제를 작성함으로써, 해당 문단이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과 해당 문단이 작성된 목적을 이해한다.
- 마인드맵 작성: 강조된 단어들을 다시 한 번 읽으며 마인드맵에 정리해, 전체적인 구조와 핵심 내용을 시각적으로 파악한다.
3. 관계 추출
- 마인드맵 확장: 추출한 용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단순 나열을 넘어 실제 이해에 도움이 되는 마인드맵으로 재구성한다.
- 각 용어가 "명사"로써,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한다.
- 각 용어 사이에 어떠한 "동사"가 있는지 파악한다.
- 어떤 개념이 주어로 동작하고, 어떤 개념이 목적어로 동작하는지, 어떠한 개념이 그 사이에서 동사로 동작하는지 파악한다.
- 모호한 개념 명확화: 이해가 어려운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접근한다.
- 관계를 파악할 수 없는 용어들의 정의를 명확히 한다.
- 해당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분석한다.
- 각 개념이 지니는 목적과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4. 전체 마인드맵 완성
- 전체 구조 파악: 한 주제의 전반적인 내용 구조를 파악하고, 전체 맥락 속에서 각 요소의 역할을 확인한다.
- 신규 개념 강조: 새롭게 배운 개념들을 두드러지게 표시하여, 기억에 남도록 정리한다.
- 기존 개념과 연계: 이미 알고 있던 지식과의 관계를 추가해 통합적인 이해를 돕는다.
5. 게시글 작성
- 내용 재정리: 완성된 마인드맵을 바탕으로 책의 주요 내용을 글로 다시 정리한다.
- 1차원 설명글 작성: 복잡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하여 설명글 형태로 재작성한다.
'Article > 개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키지 구조 선택 방법 (0) | 2025.04.27 |
---|---|
개인 프로젝트로 학습하는 방법 (0) | 2025.03.31 |
기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 (0) | 2025.03.28 |
[Test] LocalDateTime 을 사용하는 함수의 테스팅 방법 (0)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