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Repo/네트워크 - Top-down Approach + @
PDU, PCI, SDU란?
조금씩 차근차근
2025. 4. 10. 14:59
통신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여러 계층으로 나뉘며, 각 계층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포장해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이때 등장하는 SDU, PCI, PDU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SDU (Service Data Unit)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 전달하는 서비스 단위를 의미한다.
- 특징
- 상위 계층의 사용자 데이터를 그대로 포함하며, 아직 하위 계층의 제어 정보(header, trailer 등)가 첨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 하위 계층에서는 이 SDU에 자신의 프로토콜 제어 정보(PCI 등)를 덧붙여 PDU를 생성한다.
PCI (Protocol Control Information)
각 계층의 하위 계층이 부가하는 제어 정보로, 데이터의 처리 및 전달, 오류 검출·수정, 흐름 제어, 순서 보장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특징
- SDU와 결합되어 전송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 주소, 시퀀스 번호, 오류 검출 코드, 재전송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DU (Protocol Data Unit)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의 SDU에 하위 계층이 추가한 PCI를 결합하여 구성된 전달 단위를 의미한다.
- 관점에 따라 “PDU = SDU + PCI” 관계로 표현한다.
정리
구분 | 역할 및 정의 | 예시/비고 |
---|---|---|
SDU |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순수 데이터(페이로드) | “사용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
PCI | 하위 계층에서 부가하는 제어 정보 | 헤더와 트레일러 정보 등 |
PDU | SDU와 PCI의 결합체 | 해당 프로토콜이 상위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 전달하기 위해 생성한 결과물 or 그 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