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Repo/네트워크 - Top-down Approach + @
IPv4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조금씩 차근차근
2025. 4. 16. 17:10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IPv4 주소는 숫자는 익숙한데 정확히 어떤 기능인지 모호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
IPv4 주소의 의미와 이렇게 정의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표기법 - 10진수 표기법
- 8비트씩 점(.) 으로 구분해서 10진수로 표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 127.0.0.1
- 192.168.1.1
IP주소의 구성
- IP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 라우팅의 최적화를 위해 이렇게 나눠두었다.
- 네트워크 단위로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 브로드캐스팅 도메인을 제한하기 위해 이렇게 나누어두었다.
- 네트워크 부분
- 어느 네트워크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 호스트 부분
- 서브넷 부분
-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 호스트 부분
- 어느 호스트인지를 나타낸다.
- 서브넷 부분
서브넷 마스크
- 라우터가 특정 IP를 받았을 때, 로컬 네트워크로 보내야 하는지, 외부 네트워크로 보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법이다.
- 주소의 개념이 아니다.
- 특정 라우터가 자신의 IPv4 주소를 바라보는 방식을 정의한 것이다.
- 주로 홉과 홉 사이의 네트워크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 간선의 집합처럼 동작한다.
-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의 경계가 어딘지를 파악하고,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던질지, 내부의 호스트에게 전달할지를 결정한다.
- 해당 마스크 값은 라우터나 서버 설정에서 설정한다.
- 해당 기능을 통해, 하나의 IP로 여러 기기가 통신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 NAT 참고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10진수 표기법
- 255.255.255.0
- 1 - 네트워크 부분
- 0 - 호스트 부분
CIDR 표기법
- /24: 앞 24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이라는 뜻이다.